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0

[수리학 및 수문학 과년도 기출문제] 점성계수, 동점성계수, 밀도, 모관상승고, 표면장력, 물리량의 단위와 차원 01 물의 점성계수를 $\mu$, 동점성계수를 $\nu$, 밀도를 $\rho$라 할 때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① $\nu = \rho \mu$ ② $\nu = \cfrac{\rho}{\mu}$ ③ $\nu = \cfrac{\mu}{\rho}$ ④ $\nu = \cfrac{1}{\rho \mu}$ 해설 동점성계수 $$\nu = \cfrac{\mu}{\rho}$$ 정답 ③ 02 직경 1mm인 모세관의 모관상승 높이는? (단, 물의 표면장력은 74dyne/cm, 접촉각은 8°) 해설 $$h_c = \cfrac{4T \cos \theta}{wd} = \cfrac{4 \times \cfrac{74}{980} \times \cos 8°}{1 \times 0.1} = 3 \rm cm = 30 \rm mm$$ 03 .. 2022. 5. 4.
[측량학 과년도 기출문제] 평면측량, 측지측량, 지구타원체, 지오이드, 구면삼각형 1. 지구반지름 $r=6370$km이고 거리의 허용오차가 $\frac{1}{10^5}$이면 직경 몇 km까지를 평면측량으로 볼 수 있는가? 해설 $\frac{D^2}{12R^2}=\frac{\triangle D}{D}=\frac{1}{10^5}$ $D=\sqrt{\frac{12R^2}{10^5}}=\sqrt{\frac{12 \times 6370^2}{10^5}}=69.78$km 2. 지구 표면의 거리 35km 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했다면 허용정밀도는 약 얼마인가? (단, 지구의 반지름은 6370km이다.) 해설 정밀도 $\frac{d-D}{D}=\frac{D^{2}}{12R^{2}}=\frac{35^2}{12 \times 6370^2}=\frac{1}{397488}=\frac{1}{40000}$ 3. 지오.. 2022. 5. 3.
[측량학] 평면측량과 측지측량의 관계, 지구 타원체, 지오이드, 구면삼각형 1. 평면측량과 측지측량의 관계 평면측량과 측지측량과의 오차를 계산하여 보면 반지름 11km(지름 22km) 범위에서 약 $\frac{1}{1000000}$ 정도의 정밀도를 나타낸다. 정밀도 $$\frac{\triangle l}{D}=\frac{d-D}{D}=\frac{D^{2}}{12R^{2}}=\frac{1}{M}$$ 거리오차 $$d-D = \frac{D^{3}}{12R^{2}}$$ 2. 지구 타원체 우리나라는 2002년 6월 29일부터 세계 측지계를 도입하여 GRS80 타원체를 기준타원체로 사용하고 있다. 3축반경 $$R = \frac{2a+b}{3}$$ 지구의 편평률 $$P = \frac{a-b}{a}$$ 평균 곡률반경 $$R = \sqrt{MN}$$ 지구의 편심률 $$e=\sqrt{\frac{a.. 2022. 5. 3.
[수리학 및 수문학] 유체의 기본적 성질(밀도, 모관상승고, 체적탄성계수, Newton의 점성법칙) 1. 유체의 기본적 성질 밀도(density) : 단위체적당 유체의 질량, 비질량이라고도 한다. 완전유체(이상유체) : 점성이 없고 밀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한 유체 실제유체(점성유체) : 유체의 점성 때문에 유체 분자간 또는 유체의 경계면 사이에서 전단응력이 발생하게 되는 유체 표면장력 : 액체와 기체 사이의 경계면에 작용하는 분자인력에 의한 힘. (단위길이당 힘으로 표시함.) 물방울에 작용하는 표면장력 $$T= \frac{pd}{4}$$ 모세관 현상 : 부착력과 표면장력에 의해 액체가 가는 관을 따라 상승 도는 하강하는 현상 원형관의 모관 상승고 $$T= \frac{4Tcos \alpha}{\omega d}$$ 체적탄성계수 : 기압이 증가하면 압축률은 증가하고 체적탄성계수는 감소한다. 체적탄성계수 $$T.. 2022.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