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0

[상하수도공학 과년도 기출문제] 수원, 수원의 구비조건, 지표수, 지하수, 복류수, 용천수, 천층수, 심층수, 취수지점의 선정조건, 계획취수량,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결정, Ripple's method 01 수원 선정시 고려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최대 갈수기에도 계획수량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② 수질이 양호하여 경제적인 정수가 가능해야 한다. ③ 수돗물 소비지와 멀리 떨어져 수질을 확보해야 한다. ④ 건설비 및 유지관리비가 경제적이어야 한다. 해설 수돗물 소비지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해야 한다. 정답 ③ 02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산정에 이용되는 방법은? ① Ripple 법 ② William 법 ③ Manning 법 ④ Kutter 법 해설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산정에 이용되는 방법은 Ripple 법(유량누가곡선도표에 의한 방법)이다. 정답 ① 03 집수매거(infiltration galleries)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집수매거는 복류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지형 등을 .. 2022. 5. 21.
[상하수도공학] 수원, 수원의 구비조건, 지표수, 지하수, 복류수, 용천수, 천층수, 심층수, 취수지점의 선정조건, 계획취수량,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결정, Ripple's method 03 수원과 저수시설 1. 수원 (1) 수원의 구비조건 • 수량이 풍부할 것 • 수질이 양호할 것 • 가능한 한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할 것 • 수돗물 소비지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해야 할 것 (2) 지하수의 특징 • 복류수 : 어느 정도 여과된 것이므로 지표수에 비해 수질이 양호하며 정수처리과정에서 침전지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 용천수 : 지하수가 자연적으로 지표로 솟아나온 것으로 그 성질은 대개 지하수와 비슷하다. • 천층수 : 지표면에서 깊지 않은 곳에 위치하므로 공기의 투과가 양호하므로 산화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된다. • 심층수 : 대지의 정화작용으로 무균 또는 거의 이에 가까운 것이 보통이다. 2. 저수시설 (1) 지표수를 수원으로 하는 경우 상수시설의 배치순서 지표수 - 취수시설(취수탑) - .. 2022. 5. 20.
[수리학 및 수문학 과년도 기출문제] 정수압의 원리, 정수압의 강도, 대기압, 절대압력, 계기압력, 파스칼의 원리, 액주계, 마노미터, 피에조미터 01 그림에서 P1과 평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P2에 작용시켜야 할 힘은? ① 44kN ② 54kN ③ 64kN ④ 74kN 해설 정답 ③ 02 그림과 같은 액주계에서 수은면의 차가 10cm이었다면 A점과 B점의 수압차는? (단, 수은의 비중 = 13.6, 무게 1kg = 9.8N) ① 133.5kPa ② 123.5kPa ③ 13.35kPa ④ 12.35kPa 해설 A점과 B점의 압력차 정답 ④ 03 정수압의 이론은 다음 중 어느 경우에 적용되는가? ① 유체가 전혀 움직이지 않을 때에 한하여 적용된다. ② 유체가 움직여도 좋으나 유체입자 상호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을 때 적용된다. ③ 유체의 흐름 상태에는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④ 층류(laminar flow)에 한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해설 정.. 2022. 5. 16.
[수리학 및 수문학] 정수압의 원리, 정수압의 강도, 대기압, 절대압력, 계기압력, 파스칼의 원리, 액주계, 마노미터, 피에조미터 02 정수압의 원리 1. 정수압의 강도 (1) 정수압의 강도는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압력의 크기로 나타낸다. (2) 정수(움직임이 없는 물) 중 임의점에 작용하는 수압강도이다. • 대기압 : 공기 중의 무게에 의하여 지구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이다. • 절대압력 : 완전진공을 0으로 하여 측정한 값이다. 2. 파스칼(Pascal)의 원리 밀폐된 용기내 정수 중의 한 점에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은 물 속의 모든 점에 동일하게 전달된다는 이론을 파스칼의 원리라고 한다. 3. 액주계 밀폐된 용기나 관내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액주계를 사용한다. (1) 시차 액주계 • 두 용기 또는 두 관 속의 압력차를 구할 때 U자형 액주계를 사용한다. • 두 점(A점과 B점)의 압력차 (2) U자형 액주계 • 관 내부의 압력이 클.. 2022.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