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0

[수리학 및 수문학 과년도 기출문제] 전수압, 수평한 평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연직평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경사평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곡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원관(원형관)에 작용하는 .. 01 그림과 같이 지름 3m, 길이 8m인 수문에 작용하는 전수압 수평분력 작용점까지의 수심은? ① 2.00m ② 2.12m ③ 2.34m ④ 2.43m 해설 정답 ① 02 물 속에 존재하는 임의의 면에 작용하는 정수압의 작용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정수압은 수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한다. ② 정수압은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한다. ③ 정수압은 임의의 면에 직각으로 작용한다. ④ 정수압의 수직압은 존재하지 않는다. 해설 물체에 작용하는 정수압의 방향은 물체 표면에 직각(수직)으로 작용한다. 정답 ③ 03 내부반지름($r$)이 100cm인 원형강철관 속에 작용하고 있는 수압($p$)이 10$\rm kg/cm^2$이다. 강철관의 허용인장응력($\sigma_{ta}$)이 1000$\r.. 2022. 5. 30.
[수리학 및 수문학] 전수압, 수평한 평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연직평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경사평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곡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원관(원형관)에 작용하는 수압 03 전수압 1. 수평한 평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2. 연직 평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3. 경사 평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4. 곡면에 작용하는 전수압 • 수평분력 : 연직투영면상에 작용하는 수압과 같고 작용선은 연직평면인 경우와 같다. • 연직분력 : 곡면을 밑면으로 하는 연직 물기둥의 무게와 같고 작용선은 물기둥의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이다. 5. 원관에 작용하는 수압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2022. 5. 29.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과년도 기출문제] 공칭강도, 소요강도, 계수강도, 강도감소계수, 고정하중, 활하중, 계수모멘트, 설계강도 01 강도설계법으로 휨부재를 해석할 때 고정하중모멘트 $\rm 10kN{\cdot}m$ , 활하중모멘트 $\rm 20kN{\cdot}m$가 생긴다면 계수모멘트($M_u$)는? ① $\rm 42kN{\cdot}m$ ② $\rm 44kN{\cdot}m$ ③ $\rm 46kN{\cdot}m$ ④ $\rm 48kN{\cdot}m$ 해설 정답 ② 02 사용 고정하중($D$ )과 활하중($L$)을 작용시켜서 단면에서 구한 휨모멘트는 각각 $M_D =\rm 30kN{\cdot}m$ , $M_L =\rm 3kN{\cdot}m$이었다. 주어진 단면에 대해서 현행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 따라 최대 소요강도를 구하면? ① $\rm 30kN{\cdot}m$ ② $\rm 40.8kN{\cdot}m$ ③ $\rm 42kN{\cd.. 2022. 5. 28.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공칭강도, 소요강도, 계수강도, 강도감소계수, 고정하중, 활하중, 계수모멘트, 설계강도 1. 용어의 정의 $\phi \times M_n \ge M_u$ 여기서, $\phi$ : 강도감소계수, $M_n$ : 공칭강도, $M_u$ : 소요강도(계수강도) $\phi\times M_n$ : 저항력 $M_u$ : 작용력 공칭강도($M_n$ ) : 강도설계법의 규정과 가정에 따라 계산된 부재 또는 단면의 강도를 말한다. 강도감소계수( $\phi$ )를 적용하기 이전의 강도이다. $M_u$ : 소요강도(계수강도) 소요강도($M_u$ ) : 철근콘크리트 부재가 사용성과 안전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부재 단면의 단면력을 말한다. 기준하중($M_D$ 또는 $M_L$ )에 하중계수(하중증가계수라는 표현이 보다 더 적합함)를 곱한 극한하중을 사용해서 계산한 강도이다. 예) $M_u = 1.2M_D + 1.. 2022.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