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0

[상하수도공학 과년도 기출문제] 상하수도공학 구성요소와 장래인구 추정 (등비증가법, 이론곡선법) 1. 수원으로부터 취수된 상수가 소비자까지 전달되는 일반적 상수도의 구성 순서는? 해설 수원 - 취수 - 도수 - 정수 - 송수 - 배수 - 급수 2. 어느 도시의 장래 인구 증가 현황을 조사한 결과 현재인구가 90000명이고 연평균 인구 증가율이 2.5%일 때 25년 후의 예상 인구는? 해설 문제에서 연평균 인구 증가율이 주어졌으므로 등비증가법으로 인구를 추정한다. 3. 상수도는 생활기반시설로서 연속성과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가능한 한 장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기본이다. 보통 상수도의 기본계획시 계획(목표)년도는 계획 수립시 몇 년을 표준으로 하는가? 해설 계획년도(목표년도) 상수도시설 기본계획에서 대상이 되는 기간으로 계획 수립시부터 15~20년을 표준으로 .. 2022. 5. 1.
[상하수도공학] 상수도 구성요소와 장래인구 추정 01 상수도의 계획 1. 기본사항의 결정 (1) 상수의 공급과정 : 수원 - 취수 - 도수 - 정수 - 송수 - 배수 - 급수 (2) 장래인구의 추계 연평균 인구 증감수와 증감률에 의한 방법 수정지수곡선식에 의한 방법 배기곡선식에 의한 방법 이론곡선식(logistic curve)에 의한 방법 생잔모형에 의한 조성법(Cohort method) 2. 장래인구의 추정 (1) 등차 급수방법 등차 급수방법에 의한 추정인구 공식 $P_n = P_0 +na$ 여기서, $P_n$ : $n$년 후의 추정인구, $P_0$ : 현재 인구 $n$ : 현재년으로부터 계획년도(계획년차)까지의 경과년수 $n= \frac{P_n - P_0}{a}$ 연평균 인구증가수 $a = \frac{P_0 -P_t}{a}$ $P_t$ : 현재년으.. 2022.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