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하수도공학10

[상하수도공학 과년도 기출문제] 수질오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용존산소, BOD 잔존량, BOD 소모량, BOD 제거율 01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BOD가 과도하게 높으면 DO는 감소하며 악취가 발생한다. ② BOD, COD는 오염의 지표로서 하수 중의 용존산소량을 나타낸다. ③ BOD는 유기물의 호기성 상태에서 분해‧안정화되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④ BOD는 보통 20℃에서 5일간 시료를 배양했을 때 소비된 용존산소량으로 표시된다. 해설 •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생물학적 산소요구량)는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호기성 상태에서 분해‧안정화되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 COD는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 분해시킬 때 소요되는 산소량으로 BOD에 비해 짧은 시간에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 ② 02 BOD 200mg/L, 유량 600$\rm m^{3}/day$인 어느 식료품 공장폐.. 2022. 5. 22.
[상하수도공학] 수질오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용존산소, BOD 잔존량, BOD 소모량, BOD 제거율 04 수질오염 1.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생화학적 산소요구량=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OD) •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호기성 상태에서 분해 안정화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 유기물질의 함량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하천의 수질오염 판정의 지표이다. • BOD가 높으면 유기물의 오염도가 높다. (1) BOD 잔존량 (2) BOD 소모량 (3) BOD 제거율 (4) BOD 혼합농도 2.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 COD는 공장폐수의 오염 또는 해양오염의 지표로 사용된다. • 호수나 바닷물의 오염도를 BOD가 아닌 COD로 나타내는 이유는 BOD는 조류가 다량으로 존재하기 쉬워 탄소 동화작용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 COD는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 분해시킬 때 소요되는 산소량으로 BOD에 비해 .. 2022. 5. 21.
[상하수도공학 과년도 기출문제] 수질의 변화현상, 대장균군, 자정작용, 자정계수, 탈산소계수, 재폭기계수, 부영양화, 수질변화, 미생물의 성장단계, 감소성장단계, 내호흡단계, 대수성장단계 01 대장균군(coliform group)이 수질지표로 이용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화기 계통의 전염병균이 대장균군과 같이 존재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② 병원균보다 검출이 용이하고 검출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적합하다. ③ 소화기 계통의 전염병균보다 저항력이 조금 약하므로 적합하다. ④ 시험이 간편하며 정확성이 보장되므로 적합하다. 해설 대장균군은 인체의 배설물 속에 다량 존재하며 병원균보다 저항력이 강하다. 정답 ③ 02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처리를 실시할 때 유기물 분해속도가 가장 빠른 미생물의 성장단계는? ① 감소성장단계 ② 내호흡단계 ③ 대수성장단계 ④ 대수-감소성장의 중간단계 해설 대수성장단계 : 유기물 분해속도가 가장 빠른 성장단계와 침전성이 가장 양호한 성장단계 정답 ③.. 2022. 5. 21.
[상하수도공학] 수질의 변화현상, 대장균군, 자정작용, 자정계수, 탈산소계수, 재폭기계수, 부영양화, 수질변화, 미생물의 성장단계, 감소성장단계, 내호흡단계, 대수성장단계 05 수질의 변화현상 1. 대장균군 (1) 대장균을 검사하는 이유 : 대장균은 인체에 무해하나 먹는 물(음료수)에서 검출되면 병원성 세균의 존재 추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 대장균군이 수질지표로 이용되는 이유 • 병원균보다 검출이 용이하고 검출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적합하다. • 소화기 계통의 전염병은 항상 대장균군과 함께 존재하며 검출이 용이하다. 2. 자정작용 (1) 하천의 자정작용은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정화작용에 의한 정화가 주된 역할을 한다. (2) 자정계수($\it f$ ) $f=\dfrac{\rm 재폭기계수(\it k_1 )}{\rm 탈산소계수(\it k_2 )}$ • 유속이 클수록 자정계수는 커진다. • 수온이 낮을수록 자정계수는 커진다. • 저수지의 자정계수는 하천의 자정계수보다 작.. 2022.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