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수도공학 과년도 기출문제] 수원, 수원의 구비조건, 지표수, 지하수, 복류수, 용천수, 천층수, 심층수, 취수지점의 선정조건, 계획취수량,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결정, Ripple's method
01 수원 선정시 고려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최대 갈수기에도 계획수량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② 수질이 양호하여 경제적인 정수가 가능해야 한다. ③ 수돗물 소비지와 멀리 떨어져 수질을 확보해야 한다. ④ 건설비 및 유지관리비가 경제적이어야 한다. 해설 수돗물 소비지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해야 한다. 정답 ③ 02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산정에 이용되는 방법은? ① Ripple 법 ② William 법 ③ Manning 법 ④ Kutter 법 해설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산정에 이용되는 방법은 Ripple 법(유량누가곡선도표에 의한 방법)이다. 정답 ① 03 집수매거(infiltration galleries)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집수매거는 복류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지형 등을 ..
2022. 5. 21.
[상하수도공학] 수원, 수원의 구비조건, 지표수, 지하수, 복류수, 용천수, 천층수, 심층수, 취수지점의 선정조건, 계획취수량,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결정, Ripple's method
03 수원과 저수시설 1. 수원 (1) 수원의 구비조건 • 수량이 풍부할 것 • 수질이 양호할 것 • 가능한 한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할 것 • 수돗물 소비지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해야 할 것 (2) 지하수의 특징 • 복류수 : 어느 정도 여과된 것이므로 지표수에 비해 수질이 양호하며 정수처리과정에서 침전지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 용천수 : 지하수가 자연적으로 지표로 솟아나온 것으로 그 성질은 대개 지하수와 비슷하다. • 천층수 : 지표면에서 깊지 않은 곳에 위치하므로 공기의 투과가 양호하므로 산화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된다. • 심층수 : 대지의 정화작용으로 무균 또는 거의 이에 가까운 것이 보통이다. 2. 저수시설 (1) 지표수를 수원으로 하는 경우 상수시설의 배치순서 지표수 - 취수시설(취수탑) - ..
2022.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