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하수도공학

[상하수도공학 과년도 기출문제] 수질의 변화현상, 대장균군, 자정작용, 자정계수, 탈산소계수, 재폭기계수, 부영양화, 수질변화, 미생물의 성장단계, 감소성장단계, 내호흡단계, 대수성장단계

by KJEDU 2022. 5. 21.

 

01

대장균군(coliform group)이 수질지표로 이용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소화기 계통의 전염병균이 대장균군과 같이 존재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병원균보다 검출이 용이하고 검출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적합하다.

소화기 계통의 전염병균보다 저항력이 조금 약하므로 적합하다.

시험이 간편하며 정확성이 보장되므로 적합하다.

 

해설

 

대장균군인체의 배설물 속에 다량 존재하며 병원균보다 저항력이 강하다.

 

정답

 

 

02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처리를 실시할 때 유기물 분해속도가 가장 빠른 미생물의 성장단계는?

 

감소성장단계

내호흡단계

대수성장단계

대수-감소성장의 중간단계

 

 

해설

 

대수성장단계 : 유기물 분해속도가 가장 빠른 성장단계침전성이 가장 양호한 성장단계

 

정답

 

 

03

먹는 물의 수질기준에서 탁도의 기준단위는?

① ‰(permil)

ppm(parts per million)

JTU(Jackson Turbidity Unit)

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

 

 

해설

 

탁도의 단위 : 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

 

정답

 

 

04

하천 및 저수지의 수질해석을 위한 수학적 모형을 구성하고자 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수학적 방정식은?

 

에너지보전의 식

질량보전의 식

운동량보전의 식

난류의 운동방정식

 

 

해설

 

호수 및 저수지 수리모델 : 유량이 일정하고 오염물질의 감소는 일차반응식에 따른다고 보고 물질수지식을 세우기 위해 질량보존의 법칙을 적용한다.

 

정답

 

 

05

하천의 자정계수(self-purification fac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유속이 클수록 그 값이 커진다.

DO에 대한 BOD의 비로 표시된다.

[탈산소계수/재폭기계수]로 나타낸다.

저수지보다는 하천에서 그 값이 작게 나타낸다.

 

 

해설

자정계수 

 

 

 

유속이 클수록 자정계수는 커진다.

 

수온이 낮을수록 자정계수는 커진다.

 

저수지의 자정계수는 하천의 자정계수보다 작다. (저수지의 자정계수 < 하천의 자정계수)

 

 

 

정답

 

 

06

부영양화 현상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 것을 옳지 않은 것은?

 

사멸된 조류의 분해작용에 의해 표수층으로부터 용존산소가 줄어든다.

조류합성에 의한 유기물의 증가로 COD가 증가한다.

일단 부영양화가 되면 회복되기 어렵다.

영양염류인 인(P), 질소(N) 등의 유입을 방지하면 이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해설

 

부영양화된 호수에서는 사멸된 조류의 분해작용에 의해 수중에 있는 녹조류의 성장이 왕성하여 수심이 깊은 곳(심층수)의 용존산소(DO)의 농도가 낮아진다.

 

 

정답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