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BOD가 과도하게 높으면 DO는 감소하며 악취가 발생한다.
② BOD, COD는 오염의 지표로서 하수 중의 용존산소량을 나타낸다.
③ BOD는 유기물의 호기성 상태에서 분해‧안정화되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④ BOD는 보통 20℃에서 5일간 시료를 배양했을 때 소비된 용존산소량으로 표시된다.
해설
•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생물학적 산소요구량)는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호기성 상태에서 분해‧안정화되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 COD는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 분해시킬 때 소요되는 산소량으로 BOD에 비해 짧은 시간에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 ②
02
BOD 200mg/L, 유량 600$\rm m^{3}/day$인 어느 식료품 공장폐수가 BOD 10mg/L, 유량 2m/s인 하천에 유입한다. 폐수가 유입되는 지점으로부터 하류 15km 지점의 BOD(mg/L)는? (단, 다른 유입원은 없고, 하천의 유속 0.5m/s, 20℃ 탈산소계수($k_1$)=0.1/day이고, 상용대수, 20℃기준이며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① 4.79mg/L
② 7.21mg/L
③ 8.16mg/L
④ 4.39mg/L
해설
정답 ①
03
5일의 BOD값이 100mg/L인 오수의 최종 $\rm BOD_{u}$값은? (단, 탈산소계수(자연대수)=0.25$\rm day^{-1}$)
① 약 140mg/L
② 약 349mg/L
③ 약 240mg/L
④ 약 340mg/L
해설
정답 ①
04
$\rm BOD_{5}$가 155mg/L인 폐수에서 탈산소계수($k_{1}$)가 0.2/day일 때 4일 후에 남아있는 BOD는? (단, 탈산소계수는 상용대수 기준)
① 27.3mg/L
② 56.4mg/L
③ 127.5mg/L
④ 172.2mg/L
해설
정답 ①
05
하수처리장의 1차 처리시설에서 BOD부하의 40%가 제거되고 2차 처리시설에서 BOD부하의 90%가 제거되었다면 전체 BOD 제거율은?
① 78%
② 89%
③ 94%
④ 96%
해설
정답 ③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