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하수도공학

[상하수도공학] 수질오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용존산소, BOD 잔존량, BOD 소모량, BOD 제거율

by KJEDU 2022. 5. 21.

 

04 수질오염

 

1.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생화학적 산소요구량=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OD)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호기성 상태에서 분해 안정화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유기물질의 함량간접적으로 나타내는 하천의 수질오염 판정의 지표이다.

 

BOD가 높으면 유기물의 오염도가 높다.

 

 

(1) BOD 잔존량

 

(2) BOD 소모량

 

(3) BOD 제거율

 

 

(4) BOD 혼합농도

 

 

 

2.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COD공장폐수의 오염 또는 해양오염의 지표로 사용된다.

 

호수나 바닷물의 오염도를 BOD가 아닌 COD로 나타내는 이유BOD는 조류가 다량으로 존재하기 쉬워 탄소 동화작용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COD는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 분해시킬 때 소요되는 산소량으로 BOD에 비해 짧은 시간에 측정이 가능하다.

 

생물분해 가능한 유기물도 COD로 측정할 수 있다.

 

• $\rm NaNO_{2}, SO_{2}$COD값에 영향을 미친다.

 

 

3. 용존산소(DO)

 

용존부족곡선하천에서 DO 농도가 생활하수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가를 나타낸 곡선이다.

 

하천에서는 유하거리와 경과시간은 거의 같다.

 

수온이 낮아지면 DO 농도는 증가한다.

 

오염도가 높을수록 DO는 감소한다.

 

수압이 낮을수록 DO 농도가 증가한다.

 

BOD가 과도하게 높으면 DO가 감소한다.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