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수질오염
1.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생화학적 산소요구량=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OD)
•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호기성 상태에서 분해 안정화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 유기물질의 함량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하천의 수질오염 판정의 지표이다.
• BOD가 높으면 유기물의 오염도가 높다.
(1) BOD 잔존량
(2) BOD 소모량
(3) BOD 제거율
(4) BOD 혼합농도
2.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 COD는 공장폐수의 오염 또는 해양오염의 지표로 사용된다.
• 호수나 바닷물의 오염도를 BOD가 아닌 COD로 나타내는 이유는 BOD는 조류가 다량으로 존재하기 쉬워 탄소 동화작용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 COD는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 분해시킬 때 소요되는 산소량으로 BOD에 비해 짧은 시간에 측정이 가능하다.
• 생물분해 가능한 유기물도 COD로 측정할 수 있다.
• $\rm NaNO_{2}, SO_{2}$는 COD값에 영향을 미친다.
3. 용존산소(DO)
• 용존부족곡선은 하천에서 DO 농도가 생활하수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가를 나타낸 곡선이다.
• 하천에서는 유하거리와 경과시간은 거의 같다.
• 수온이 낮아지면 DO 농도는 증가한다.
• 오염도가 높을수록 DO는 감소한다.
• 수압이 낮을수록 DO 농도가 증가한다.
• BOD가 과도하게 높으면 DO가 감소한다.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