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0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과년도 기출문제] 강도설계법, 강도감소계수, 지배단면, 순인장변형률,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강도감소계수를 규정하는 목적 01 부재의 설계시 적용되는 강도감소계수($\phi$)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압축지배단면에서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강도감소계수는 0.70이다. ② 인장지배 단면에서의 강도감소계수는 0.85이다. ③ 공칭강도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 변형률($\epsilon_t$)이 압축지배와 인장지배단면 사이일 경우에는 $\epsilon_t$가 압축지배변형률 한계에서 인장지배변형률 한계로 증가함에 따라 $\phi$값을 압축지배단면에 대한 값에서 0.85까지 증가시킨다. ④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에서 강도감소계수는 0.80이다. 해설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에서 강도감소계수는 0.80이다. 정답 ④ 02 강도설계법에서 사용하는 강도감소계수($\phi$)의 값으로 틀린 것은? ① 무근콘크리트의 .. 2022. 5. 26.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강도설계법, 강도감소계수, 지배단면, 순인장변형률,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강도감소계수를 규정하는 목적 02 설계강도 1. 강도감소계수 (1) 강도설계법에서 강도감소계수($\phi$)를 규정하는 목적 • 부정확한 설계방정식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 • 구조물에서 차지하는 부재의 중요도 등을 반영하기 위해 • 재료강도와 치수가 변동할 수 있으므로 부재의 강도저하 확률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 • 주어진 하중조건에 대한 부재의 연성도와 소요신뢰도를 반영하기 위해 (2) 강도감소계수($\phi$) 2. 지배단면 $f_y = \rm 400MPa$인 철근 및 긴장재에 대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와 $\epsilon_t$에 따른 $\dfrac{c}{d_t}$값의 변화 • 순인장 변형률($f_y = \rm 40MPa$) ← 개정내용 여기서, $c$ : 공칭강도에서 중립축의 깊이 $d_t$ : 최외단 .. 2022. 5. 25.
[측량학 과년도 기출문제] 국가기준점, 공공기준점, 지적기준점, 경위도원점, 수준원점, 우주측지기준점(VLBI), 위성기준점, 통합기준점, 중력기준점, 지자기기준점 01 우리나라에 설치되어 있는 수준점의 표고는? ① 삼각점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낸다. ② 도로의 높이를 나타낸다. ③ 만조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낸다. ④ 평균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낸다. 해설 수준점의 표고는 평균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낸다. 정답 ④ 02 국토부장관(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전 국토를 대상으로 주요지점에 설치하는 점을 국가기준점이라 한다. 이 국가기준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삼각점 ② 수준점 ③ 지적삼각점 ④ 지자기점 해설 국가기준점 : 삼각점, 수준점, 지자기점, 중력점 정답 ③ 03 국가측지기준계를 정립하기 위하여 전 세계 초장거리간섭계와 연결하여 정한 기준점이란 무엇인가? ① 중력기준점 ② VLBI ③ 위성기준점 ④ 지평선 해설 국가측지기준계를 정립하기 위하여 전 세계 .. 2022. 5. 24.
[측량학] 국가기준점, 공공기준점, 지적기준점, 경위도원점, 수준원점, 우주측지기준점(VLBI), 위성기준점, 통합기준점, 중력기준점, 지자기기준점 03 국가 기준점 1. 국가 기준점의 개용 (1) 국가 기준점의 정의 측량이 정확도를 확보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및 해양수산부장관이 전 국토를 대상으로 주요 지점마다 정한 측량의 기본이 되는 측량기준점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측량에 의해 설치한 위치와 표고 등이 표시된 점이다. (2) 국가 기준점의 역할 • 국토에 대한 측량의 정확도 확보 및 효율성 향상 그리고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된다. • 국토의 위치를 영구히 현지에 보존, 표현하는 시설물이다. • 측량성과의 통일과 측량의 중복을 배제한다. • 관계법령 :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7조 및 시행령 제8조 (3) 측량기준점 구분(제7조) • 국가기준점 : 국토부장관(국토지리원장)이 전 국토를 대상으로 주요지점에 설치(.. 2022.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