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과년도 기출문제] 강도설계법, 강도감소계수, 지배단면, 순인장변형률,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강도감소계수를 규정하는 목적

by KJEDU 2022. 5. 26.

01

부재의 설계시 적용되는 강도감소계수($\phi$)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압축지배단면에서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강도감소계수는 0.70이다.

인장지배 단면에서의 강도감소계수는 0.85이다.

공칭강도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 변형률($\epsilon_t$)이 압축지배와 인장지배단면 사이일 경우에는 $\epsilon_t$가 압축지배변형률 한계에서 인장지배변형률 한계로 증가함에 따라 $\phi$값을 압축지배단면에 대한 값에서 0.85까지 증가시킨다.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에서 강도감소계수는 0.80이다.

 

해설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에서 강도감소계수는 0.80이다.

 

정답

 

 

02

강도설계법에서 사용하는 강도감소계수($\phi$)의 값으로 틀린 것은?

 

무근콘크리트의 휨모멘트 : $\phi=0.55$

전단력과 비틀림모멘트 : $\phi=0.75$

콘크리트의 지압력 : $\phi=0.70$

인장지배단면 : $\phi=0.85$

 

 

해설

 

콘크리트의 지압력 : $\phi=0.65$

 

정답

 

 

03

강도설계법에서 강도감소계수($\phi$)를 규정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부정확한 설계방정식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

구조물에서 차지하는 부재의 중요도 등을 반영하기 위해

재료강도와 치수가 변동할 수 있으므로 부재의 강도저하 확률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

하중의 변경, 구조 해석할 때의 가정 및 계산의 단순화로 인해 야기될지 모르는 초과 하중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

 

 

해설

 

강도감소계수를 규정하는 목적

 

부정확한 설계방정식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

 

구조물에서 차지하는 부재의 중요도 등을 반영하기 위해

 

재료강도와 치수가 변동할 수 있으므로 부재의 강도저하 확률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

 

주어진 하중조건에 대한 부재의 연성도와 소요신뢰도를 반영하기 위해

 

정답

 

 

04

유효깊이($d$)가 500mm인 직사각형 단면보에 $f_y = 400 \rm MPa$인 인장철근이 1열로 배치되어 있다. 중립축($x$)의 위치가 압축연단에서 200mm인 경우 강도감소계수($\phi$)는? (단, $f_{ck} = 28 \rm MPa$)
​    

① 0.804
② 0.817
③ 0.834
④ 0.847

 

 

해설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강도감소계수

 

 

정답

 

 

 

05

아래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epsilon_t$)이 0.0045일 때 설계휨강도를 구할 때 적용하는 강도감소계수($\phi$)? (단, $f_{ck} =28 \rm MPa $ ,   $\it f_y = \rm 400MPa$)

 

 

 

0.804

0.817

0.826

0.839

 

 

 

해설

 

강도감소계수($f_y = 400 \rm MPa$)

 

 

 

정답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