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측량학

[측량학] 중력측정, UTM 좌표계, TM 투영법, 측량의 원점, 위도와 경도의 원점, 평면 직각좌표의 원점

by KJEDU 2022. 5. 11.

 

 

02 중력 측정과 좌표계

 

 

1. 중력 측정

 

(1) 중력이상

중력이상 = 중력 실측값 - 이론 실측값

중력이상에 대한 취급은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한다.

중력이상의 주된 원인 : 지하물질의 밀도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2) 중력의 보정

고도보정 : 관측점의 중력값을 지오이드(Geoid)면까지 내리는 보정을 말한다.

부게보정 : 측정된 중력값에 물질의 영향을 빼주면 이 물질이 없는 상태의 중력값을 말한다.

지형보정 : 높은 곳은 깍고 낮은 곳은 채워서 평판하게 하였을 때의 값으로 바꾸는 보정을 말한다.

 

 

2. 좌표계

 

(1) UTM 좌표계

UTM 좌표계는 적도를 횡축, 자오선을 종축으로 하고, 중앙자오선과 적도의 교점을 원점으로 횡메르카토르도법으로 투영한 좌표계를 말한다.

위도 : 남북위 80°까지 포함해서 간격으로 20구분으로 나누고 위도원점은 적도상에 있다.

경도 : 동경 180°를 기준으로 하여 동쪽으로 간격으로 60구분으로 나누고, 경도원점은 중앙자오선이다.

 

(2) TM 투영법

타원체에 원통을 둘러 씌우고 타원체면을 원통면상에 투영한 후 원통을 펴보면 평면이 얻어지는데 이러한 투영법을 TM 투영법이라 한다.

 

3. 측량의 원점

 

(1) 위도와 경도의 원점

위도의 원점 : N 37°1631.9034

경도의 원점 : E 127°0305.1451

원방위각 : 170°5818.190

 

(2) 평면 직각좌표의 원점

X은 좌표계 원점의 자오선에 일치하여야 하고 진북방향()을 정(+)으로 표시한다.

YX축에 직교하는 축으로서 진동방향()을 정(+)으로 한다.

세계측지계에 따르지 아니하는 지적측량의 경우에는 가우스 상사 이중 투영법으로 표시한다. 직각좌표계 투영원점의 가산수치를 각각 X(N) 500000m(제주도 지역은 550000m), Y(E) 200000m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