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측량학

[측량학 과년도 기출문제] GNSS, 위성측위시스템, 위성측량시스템, GNSS 측위, 단독위치 및 상대위치 결정방법, 후처리 DGPS, VRS 측위, GNSS 측량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다중경로 오차, 다중주파수

by KJEDU 2022. 6. 3.

 

 

01

GNSS 위성측량시스템으로 틀린 것은?

 

GPS

GSIS

QZSS

GALILEO

 

해설

 

GNSS(위성측위시스템, 위성측량시스템)

 

 

 

정답

 

 

02

GNSS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양한 항법위성을 이용한 3차원 측위방법으로 GPS, GLONASS, GALILEO 등이 있다.

VRS 측위는 수신기 1대를 이용한 절대 측위 방법이다.

지구질량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직교좌표체계를 사용한다.

정지측량, 신속정지측량, 이동측량 등으로 측위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

 

 

해설

 

VRS 측위 : 2대 이상의 수신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상대측위방식에 의하여 기지점(좌표를 알고 있는 지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미지점(좌표를 모르는 지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측량이다.

 

정답

 

 

03

GNSS 위성전파가 장애물 등으로 인해 차단되거나 일순간 신호가 단절되어 위상측정이 중단되는 현상은?

 

SA(Selective Availability)

AS(Anti-Spoofing)

사이클 슬립(Cycle Slip)

멀티패스(Multipath)

 

 

해설

 

사이클 슬립(Cycle Slip) : GNSS 안테나 주위의 지형지물에 의한 신호단절, 높은 신호 잡음, 낮은 신호강도, 낮은 위성의 고도각 등에 의해 발생한다.

 

정답

 

 

04

GNSS 상대측위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수신기 1대만을 사용하여 측위를 실시한다.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는 전파의 파장 개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위상차의 계산은 단순차, 2중차, 3중차와 같은 차분기법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전파의 위상차를 관측하는 방식이나 절대측위 방법보다 정확도가 낮다.

 

 

해설

 

절대측위수신기 1대만을 사용하여 측위를 실시한다.

 

위상차의 계산단순차, 2중차, 3중차와 같은 차분기법으로는 해결한다.

 

전파의 위상차를 관측하는 방식이나 절대측위 방법보다 정확도가 높다.

 

 

정답

 

 

05

GNSS가 다중주파수(multi-frequency)를 채택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데이터 취득 속도의 향상을 위해

대류권지연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다중경로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전리층지연 효과의 제거를 위해

 

 

해설

 

GNSS 측량에서 다중주파수(multi-frequency)를 채택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 : 전리층 지연오차 제거를 위해서이다.

 

다중주파수를 사용할 경우 GNSS 신호가 전리층을 지날 때 발생하는 전파지연에 따른 오차제거(보정)가 가능하다.

 

정답

 

 

06

GNSS의 특징에 대한 설명을 틀린 것은?

 

날씨와 무관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24시간 연속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실내외에서 모두 측정이 가능하다.

전 지구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해설

 

실내에는 전파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GNSS 측정이 불가능하다.

 

정답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