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측량학

[측량학 과년도 기출문제] 거리측량오차, 오차의 종류, 정오차, 누적오차, 누차, 우연오차, 부정오차, 상차, 우차, 오차의 전파법칙, 정밀도, 최확치, 중등오차, 확률오차, 경중률

by KJEDU 2022. 6. 1.

 

01

상차라고도 하며 그 크기와 방향(부호)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고 확률론에 의해 추정할 수 있는 오차는?

 

착오

정오차

개인오차

우연오차

 

해설

 

우연오차

우연오차는 부정오차, 상차, 우차, 상쇄오차라고도 한다.

크기와 방향(부호)이 불규칙하게 발생한다.

오차의 발생원인이 불분명하여 소거방법도 불분명하다.

 

정답

 

 

02

2000m의 거리를 50m씩 끊어서 40회 관측하였다. 관측결과 오차가 ±0.14m이었고, 40회 관측의 정밀도가 동일하다면, 50m 거리 관측의 오차는?

 

±0.022m

±0.019m

±0.016m

±0.013m

 

 

해설

 

우연오차

 

거리 관측의 오차

정답

 

 

03

80m의 측선을 20m 줄자로 관측하였다. 만약 1회의 관측에 +4mm의 정오차와 ±3mm의 부정오차가 있었다면 이 측선의 거리는?

 

80.006±0.006m

80.006±0.016m

80.016±0.006m

80.016±0.016m

 

 

해설

 

실제거리=관측거리+정오차±우연오차

 

정오차

 

우연오차

 

정답

 

 

04

어느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A, B, C, D 네 사람이 각각 10회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가장 신뢰성이 높은 측정자는 누구인가? (, 단위는 [m])

 

A : 165.864±0.002             
B : 165.867±0.006           

C : 165.862±0.007            
D : 165.864±0.004            

 

A

B

C

D

 

 

해설

 

정도의 분모가 클수록 신뢰도가 높다.

 

가장 신뢰성이 높은 측정자는 A이다.

 

 

정답

 

 

05

어떤 측선의 길이를 3(A, B, C)이 관측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을 때 최확값은?

A : 100.287m(5회 관측)          
B : 100.376m(3회 관측)          
C : 100.432m(2회 관측)          

 

100.298m

100.312m

100.343m

100.376m

 

 

해설

 

경중률은 관측횟수에 비례한다.

 

최확치

정답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