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측량학

[측량학] GPS, 범지구측위체계, GPS의 일반적 특성, GPS 측위방법, GPS의 오차 3가지, 위치오차, 시간오차, 측위환경에 따른 오차, SA에 의한 오차

by KJEDU 2022. 6. 12.

 

06 GPS

 

 

1. GPS의 일반적 특성

 

3차원 측량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지구상 어느 곳에서나 이용할 수 있다.

 

GPS를 이용하여 취득한 높이는 타원체고이다.

 

기선 결정의 경우 두 측점 간의 시통에 관계가 없다.

 

기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야간에도 측량이 가능하다.

 

측량거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지니고 있다.

 

VRS(Virtual Reference Stations) 측량에서는 망조정이 필요없다.

 

GPS신호기는 전리층과 대기권을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GPS 위성신호를 지연시킨다.

 

세계 측지기준계(WGS84) 좌표계를 이용하므로, 지역기준계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다소 번거롭다.

 

 

2. GPS 측위방법

 

DGPS(Difference GPS) : 좌표를 알고 있는 기지점에 고정용 수신기를 설치하여 보정자료를 생성하고 동시에 미지점(좌표를 모르는 지점)에 또 다른 수신기를 설치하여 고정점에서 생성된 보정자료를 이용해 미지점의 관측자료를 보정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는 GPS 측위방법이다.

 

정지(STATIC) 측량 : VLBI의 보완 또는 대체 가능하며 수신완료 후 컴퓨터로 각 수신기의 위치와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동(KINEMATIC) 측량 : 이동차량 위치결정에 이용되고 공사측량 등에 응용이 가능하며 정도는 10cm~10m 정도이다.

 

 

3. GPS의 오차 3가지

 

 

(1) 구조적인 요인에 의한 오차(위치오차, 시간오차)

 

위성에 탑재된 원자시계의 오차

 

위성의 궤도 오차

 

위성의 기하학적 위치에 따른 오차

 

 

(2) 측위환경에 따른 오차 : 위성의 배치상태에 따른 오차이다.

 

 

(3) SA(Selective Availability)에 의한 오차 : 선택적 가용성에 의한 오차로 GPS 운영국가인 미국이 임의로 오차를 증가시키는 것을 말하며, 200051일에 해체되었으며 DGPSRTK 등의 상대측량 방식으로 오차소거가 가능하다.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