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질 및 기초30

[토질및기초] 흙의 분류, 조립토, 세립토, 유기질토, 조립토와 세립토의 공학적 성질 비교, 입도분석, 체분석, 비중계분석 흙의 분류 1. 일반적인 흙의 분류 2. 흙의 공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 조립토(자갈, 모래) 입도가 흙의 밀도, 투수성, 전단강도 등의 공학적 성질에 많은 영향을 준다. (2) 세립토(실트, 점토) 입도보다는 컨시스턴시(Consistency, 연경도)가 흙의 공학적 성질에 영향을 준다. (3) 유기질토의 특성 ① 자연함수비가 높다.($w_n = \rm 200 \sim300 \%$) ② 압축성이 크다. ③ 2차 압밀에 의한 침하량이 크다. 3. 조립토와 세립토의 공학적 성질 비교 4. 입도분석 (1) 입도 크고 작은 흙입자의 혼합 비율 (2) No.200체(0.075mm)를 기준으로 하여 No.200체에 잔류한 흙:체가름시험 실시 No.200체를 통과한 흙:비중계분석 실시 (3) 입도분석의.. 2022. 6. 26.
[토질및기초 과년도 기출문제] 흙의 기본적 성질, 연경도, consistency, 유동지수, 간극률, 공극률, 간극비, 공극비, 추가살수량, 흙의 건조중량, 습윤중량, 함수비, 활성도 흙의 기본적 성질 01 흙의 연경도(Consistency)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소성지수는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로서 표시된다. ② 수축한계를 지나서도 수축이 계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③ 유동지수는 유동곡선의 기울기이다. ④ 어떤 흙의 함수비가 소성한계보다 높으면 그 흙은 소성상태 또는 액성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설 1. 수축한계($w_s$)를 지나서 함수비가 더 감소하여도 체적의 변화가 거의 없다. 2. 소성지수($I_P$)=액성한계($w_L$) - 소성한계($w_P$) 3. 유동지수:액성한계 시험으로부터 구한 유동곡선의 기울기 정답 ② 02 포화도가 75%이고 비중이 2.60인 흙에 대한 함수비는 15%였다. 이 흙의 공극률은? ① 74.3% ② 68.2% ③ 50.5%.. 2022. 6. 25.
[토질및기초 과년도 기출문제] 흙의 기본적 성질, 소성도표, 소성도, 액성한계, 소성지수, 수축한계, 간극비, 공극비, 습윤밀도, 건조밀도, 애터버그한계, 함수비, 비중 흙의 기본적 성질 01 소성도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A$선의 방정식은 $I_P = 0.73(w_L -10)$이다. ② 액성한계를 횡좌표, 소성지수를 종좌표로 한다. ③ 흙의 분류에 사용된다. ④ 흙의 성질을 파악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해설 소성도표(plastic chart) ㉠ 가로축:액성한계($w_L$) 세로축:소성지수($I_P$) ㉡ A선의 방정식 ㉢ B선의 방정식 정답 ① 02 노건조된 점토시료의 중량이 12.38g, 수은을 사용하여 수축한계에 도달한 용적을 측정한 결과가 $\rm 5.98cm^3$일 때의 수축한계는? (단, 비중은 2.65이다.) ① 10.6% ② 12.5% ③ 14.6% ④ 15.5% 해설 1. 수축비 2. 수축비 계산 3. 수축한계 계산 정답 ① 03 흙의.. 2022. 6. 24.
[토질및기초 과년도 기출문제] 흙의 기본적 성질, 간극비, 공극비, 비중, 토립자의 비중, 수축한계, 포화도, 건조단위중량, 포화단위중량 흙의 기본적 성질 01 100% 포화된 흐트러지지 않은 시료의 부피가 $20.5\rm cm^3$이고 무게는 34.2g이었다. 이 시료를 오븐(Oven)건조 시킨 후의 무게는 22.6g이었다. 공극비(void ratio)는? ① 1.3 ② 1.5 ③ 2.1 ④ 2.6 해설 1. 100% 포화된 흙은 포화도가 100%이다. 2. 간극의 부피=물의 부피 3. 물의 무게 4. 물의 체적 5. 간극비 계산 정답 ① 02 어느 흙의 공극비 $e=0.52$, 함수비 $w=12.5%$ 및 포화도 $S_r =64.5\%$일 때 토립자의 비중 $G_s$는? ① 2.42 ② 2.68 ③ 2.87 ④ 2.92 해설 비중 계산 정답 ② 03 체적이 $V=5.83\rm cm^3$인 점토를 건조로에서 건조시킨 결과 무게는 $W_s.. 2022.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