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학 및 수문학 과년도 기출문제] 흐름의 분류, 유선, 유적선, 유관, 유선방정식, 정류, 부정류, 등류, 부등류
01 유선(stream li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속도 성분이 존재한다. ② 유선은 어느 순간의 속도 벡터에 접하는 곡선이다. ③ 흐름이 정상류일 때는 유선과 유적선이 일치한다. ④ 유선방정식은 $\dfrac{dx}{u}=\dfrac{dy}{v}=\dfrac{dz}{w}$이다. 해설 유선 : 물 또는 다른 액체가 연속으로 운동할 때 어느 순간에 있어서 물 입자의 운동을 벡터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속도 벡터가 접선되는 가상의 곡선을 유선이라 한다. 정답 ① 02 유선 위 한 점의 $x$, $y$, $z$축에 대한 좌표를 $(x,y,z)$, $x$, $y$, $z$축에 대한 속도성분을 각각 $u$, $v$, $w$라 할 때 서로의 관계가 $\dfrac{dx}{u..
2022. 6. 7.
[수리학 및 수문학] 흐름의 분류, 유선, 유적선, 유관, 유선방정식, 정류, 부정류, 등류, 부등류
05 흐름의 분류 1. 유선 • 정류의 흐름에서 유선과 유적선은 일치한다. • 유적선 : 흐름 중의 한 물 입자가 통과한 흔적의 연속적인 선 • 부정류의 흐름에서 유선과 유적선은 일치하지 않는다. • 하나의 유선은 다른 유선과 교차하지 않는다. • 유관 : 폐곡선 위를 통과하는 유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으므로 하나의 관을 구성하는데 이 관을 유관이라 한다. 2. 유선방정식 3. 정류(정상류) • 한 단면을 지나는 물이 시간에 따라 속도, 압력, 밀도 등 흐름특성(유동특성)이 변하지 않는 흐름을 정류 또는 정상류라고 한다. • 유선과 유적선이 일치하는 흐름이다. • 일반적으로 하천의 흐름을 정류로 취급한다. • 댐을 막아 올린 하천의 평상시의 흐름은 정류이다. 4. 부정류 • 홍수시의 하천과 같이 한 단면에..
2022. 6. 6.
[수리학 및 수문학 과년도 기출문제] 부력, 상대정지, 경심, 부심, 흘수, 부양면, 부체의 안정판별, 아르키메데스 원리, 상대정지, 등압면방정식, 연직 가속운동, 수평가속도
01 비중이 0.9인 목재가 물에 떠 있다. 수면 위에 노출된 체적이 1.0$\rm m^3$이라면 목재 전체의 체적은? (단, 물의 비중은 1.0이다.) ① 1.9$\rm m^3$ ② 2.0$\rm m^3$ ③ 9.0$\rm m^3$ ④ 10.0$\rm m^3$ 해설 목재 전체의 체적은 아르키메데스 원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한다. 정답 ④ 02 중력장에서 단위유체질량에 작용하는 외력 $F$의 $x$, $y$, $z$축에 대한 성분을 $X$, $Y$, $Z$라고 하고, 각 축방향의 성분의 증분을 $dx$, $dy$, $dz$라고 할 때 등압면의 방정식은? 해설 등압면의 방정식 정답 ③ 03 물이 담겨 있는 그릇을 정지 상태에서 가속도 $\alpha$로 수평으로 잡아당겼을 때 발생되는 수면이 수평면과 ..
2022. 6. 5.
[수리학 및 수문학] 부력, 상대정지, 경심, 부심, 흘수, 부양면, 부체의 안정판별, 아르키메데스 원리, 상대정지, 등압면방정식, 연직 가속운동, 수평가속도
04 부력과 상대정지 1. 부력(buoyancy) 부력 : 물체 표면에 작용하는 전수압을 말하며, 수중 부분(물 속에 잠긴 부분)의 체적만큼 물의 무게이다. (1) 경심($M$) 수중에 뜬 물체가 기울어졌을 때 부심(浮心)을 지나는 연직선과 부축(浮軸)과의 교점을 경심(傾心)이라고 한다. 경심고 $\overline{MG} = \dfrac{P l}{W \theta}$ (2) 부심(浮心) 부체가 배제한 체적의 물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부력의 작용선을 부심이라고 한다. (3) 흘수($h$) 물체가 물에 떠서 정지하고 있을 때 그 물체의 맨 밑부분까지의 수심을 흘수라고 한다. (4) 부양면 부체의 일부가 수면 위에 떠 있을 때 수면에 의해 절단되는 가상의 단면을 부양면이라고 한다. • 부체의 안정판별 (5) 아..
2022.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