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0

[토질및기초] 흙의 기본적 성질, 활성도, 3대 주요 점토광물, 점토광물, 카올리나이트, 일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kaolinite, illite, montmorillonite 흙의 기본적 성질 1. 활성도(Activity) (1) 점토광물이 주위의 다른 물질들을 흡착시키거나 물리적․화학적으로 결합하려는 경향의 정도(크기)를 활성도라고 한다. (2) 세립토일수록 비표면적($\rm m^{2} /g$, 단위중량(1g)의 세립토가 가지는 흙입자의 표면적$( \rm m^{2} )$이 증가하므로, 토립자의 크기는 흡착수량(간극속에 있는 물을 끌어들이는 양)과 증가하게 된다. (3) 흙의 활성도는 사질토보다는 점성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4) 활성도는 아터버어그 한계(Atterberg's limits)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5) 활성도 공식 (6) 미세한 점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수록 활성도는 커지게 되고 공학적으로 불안정하게 된다. (7) 3대 주요 점토광물의 활성도 및 공학.. 2022. 6. 19.
[토질및기초] 흙의 기본적 성질, 흙의 연경도, consistency,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 수축비, 소성지수, 액성지수, 연경지수, 유동지수 흙의 기본적 성질 1. 흙의 연경도(軟硬度, Consistency) (1) 세립토의 경우 함수비의 변화에 따라 흙의 체적, 상태(고체, 반고체, 소성체, 액성체) 및 흙의 공학적 특성(점성, 유동성, 전단강도)등이 변화하는 성질을 말한다. (2) 각 상태(고체, 반고체, 소성체, 액성체)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를 아터버어그 한계(Atteberg Limits, Consistency Limits)라고 한다. (3) 액성한계(Liquidity limit) ① 액성체와 소성체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 ② 액성한계의 의미:액성한계가 크면 미세한 점토함유량이 많고 팽창․수축성이 크며 함수량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크다. ③ N.P(Non-plasticity ; 비소성) ㉮ 규정된 방법으로 소성한계를 구할수 없는 경우 ㉯ .. 2022. 6. 18.
[토질및기초] 흙의 기본적 성질, 상대밀도, 간극비, 건조단위중량, 간극비와 건조단위중량의 관계, 상대밀도와 N치의 관계 흙의 기본적 성질 1. 상대밀도(Relative density, $D_r$) (1) 정의 조립토(사질토)의 조밀한 정도(조밀, 느슨)를 나타내는 값을 상대밀도라고 한다. (2) 상대밀도 공식 ① 간극비로 표시한 공식 ② 건조단위중량으로 표시한 공식 (3) 간극비와 건조단위중량의 관계 → 간극비와 건조단위중량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② 가장 조밀한 상태 ③ 가장 느슨한 상태 (4) 상대밀도에 따른 조밀정도 핵심예제 비중이 2.70이며 함수비가 25%인 어느 현장 사질토 $\rm 5m^3$의 무게가 8.0t이었다. 이 사질토를 최대로 조밀하게 다졌을 때와 최대로 느슨한 상태의 간극비가 각각 0.8과 1.20이었다. 이 현장 모래의 상대밀도는? ① 22.5% ② 32.5% ③ 42.5% ④ 52.5% 해설 습.. 2022. 6. 17.
[토질및기초] 흙의 기본적 성질, 흙의 단위중량, 밀도, 전체단위중량, 습윤단위중량, 포화단위중량, 건조단위중량, 수중단위중량, 습윤밀도, 포화밀도, 건조밀도, 수중밀도 흙의 기본적 성질 1. 흙의 단위(체적)중량=밀도 (1) 정의 흙 전체의 무게를 이에 대응하는 부피로 나눈 값 (2) 기존 토목기사필기 토질및기초 또는 실기시험에서는 단위중량과 밀도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해서 출제되었지만 최근 토목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에서 대부분의 문제가 SI 단위로 출제되기 때문에 단위중량과 밀도를 구분해서 정리해야 한다. (3) 흙의 상태에 따른 단위중량의 종류 ① 전체 단위중량 또는 습윤 단위중량($\gamma_{\rm t} = \gamma_{\rm wet}$)=습윤밀도 ㉮ 자연상태에 있는 흙의 무게를 이에 대응하는 부피로 나눈 값 ㉯ 공식 ㉰ 흙의 종류에 따른 전체 단위중량 ② 건조 단위중량($\gamma_d$)=건조밀도 ㉮ 흙을 항온 건조로에서 105℃ 내지 110℃에서 노건조시.. 2022.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