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질 및 기초

[토질및기초 과년도 기출문제] 흙의 기본적 성질, 연경도, consistency, 유동지수, 간극률, 공극률, 간극비, 공극비, 추가살수량, 흙의 건조중량, 습윤중량, 함수비, 활성도

by KJEDU 2022. 6. 25.

 

흙의 기본적 성질

 

 

01

흙의 연경도(Consistency)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소성지수는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로서 표시된다.

수축한계를 지나서도 수축이 계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유동지수는 유동곡선의 기울기이다.

어떤 흙의 함수비가 소성한계보다 높으면 그 흙은 소성상태 또는 액성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설

 

1. 수축한계($w_s$)를 지나서 함수비가 더 감소하여도 체적의 변화가 거의 없다.

 

2. 소성지수($I_P$)액성한계($w_L$) - 소성한계($w_P$)

 

3. 유동지수액성한계 시험으로부터 구한 유동곡선의 기울기

 

정답

 

 

 

02

포화도가 75%이고 비중이 2.60인 흙에 대한 함수비는 15%였다. 이 흙의 공극률은?

74.3%

68.2%

50.5%

34.2%

 

해설

 

1. 간극비 계산

 

2. 공극률과 간극비 사이의 관계

 

3. 공극률 계산

 

정답

 

 

 

03

공극비 $e=1.0$, 비중 $G_s = 2.6$인 흙이 있다. 이 흙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공극율은 50%이다.

건조밀도는 $\rm 1.3g/cm^3$이다.

수중밀도는 $\rm 0.8g/cm^3$이다.

포화상태의 함수비는 50%이다.

 

해설

 

1. 공극률과 간극비 사이의 관계식

 

 

2. 건조밀도

 

 

3. 수중밀도

 

 

4. 함수비 계산

 

포화상태포화도 $S=\rm 100\% =1.0$

 

 

정답

 

 

04

함수비 14%의 흙 2,218g이 있다. 이 흙의 함수비를 23%로 하려면 몇 g의 물이 필요한가?

199.6g

187.3g

175.1g

161.2g

 

 

해설

 

1. 함수비 14%인 흙의 물의 무게

 

 

 

2. 함수비 23%인 흙의 물의 무게

 

물만 더 첨가한 것이므로 토립자의 무게는 동일하다.

 

 

 

 

3. 살수량 계산

 

 

정답

 

 

05

어떤 흙의 습윤중량이 420g이고 함수비가 20%일 때 이 흙의 건조 중량은 얼마인가?

150g

250g

350g

450g

 

 

해설

 

1. 건조중량토립자만의 무게

 

2. 토립자의 무게

 

 

3. 토립자의 무게 계산

 

 

정답

 

 

 

06

다음 흙의 구성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

포화도는 100% 보다 클수 없다.

함수비는 100% 보다 클수 없다.

간극률은 100% 보다 클수 없다.

간극비는 1 보다 클수 있다.

 

해설

 

1. 함수비

 

함수비는 100%보다 클 수 있다.

 

 

2. 포화도

 

포화도는 100%보다 클 수 없다.

 

 

3. 간극률

 

간극률은 100%보다 클 수 없다.

 

 

4. 간극비

 

간극비는 1보다 클 수 있다.

 

 

 

정답

 

 

 

07

흙의 연경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자연함수비 $w_n$이 액성한계 $w_L$에 근접하면 흙은 안정한 상태에 있다.

소성지수가 크다는 것은 점토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액성지수 $I_L$1보다 큰 경우는 극히 예민한 점토다.

자연함수비 $w_n$이 소성한계 $w_P$에 근접하면 흙은 안정상태에 있다.

 

해설

 

1. 자연함수비 $w_n$이 액성한계 $w_L$에 근접하면 흙은 공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2. 액성한계나 소성지수가 큰 흙은 점토함유율이 높다.

 

 

정답

 

 

08

점토광물(clay mineral)에 관한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Sheet형의 결정입자의 $2\mu \rm m$이하의 점토를 말한다.

기본 구조단위로 정사면체구조(Silica Sheet)와 정팔면체구조(Gibbsite)가 있다.

카오리나이트(Kaolinite)구조는 공학적으로 제일 안정되어 수축, 팽창이 거의 없다.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구조는 공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지만, 수축, 팽창은 조금 생긴다.

 

해설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구조는 공학적으로 가장 불안정하여 수축, 팽창성은 상당히 크다.

 

 

정답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