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질 및 기초

[토질및기초 과년도 기출문제] 흙의 기본적 성질, 간극비, 공극비, 수축한계시험, 건조단위중량, 연경도, consistency, 포화단위무게, 포화단위중량, 건조단위중량, 소성지수, 액성한계, 소성한계

by KJEDU 2022. 6. 22.

흙의 기본적 성질

 

 

01

건조단위중량이 1.70$\rm t/m^3$이고, 비중이 2.80이라면 이 흙의 공극비는 얼마인가?

 0.32

 0.47

 0.55

 0.65

 

해설

 

1. 건조단위중량 공식을 변형

 

2. 간극비 계산

 

 

공학용 계산기의 솔브(Solve) 기능을 이용해서 간극비를 계산하면 위의 해설처럼 건조단위중량 공식을 간극비에 관해서 정리하지 않고 건조단위중량 공식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여 바로 간극비를 구할 수 있다. 

 

공학용계산기의 솔브(Solve) 기능을 반드시 익혀두기 바랍니다.

 

 

정답 

 

 

02

수축한계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은 다음 항목중 어느 것인가?

 군지수 계산

 비중의 근사치 계산

 동상성의 판정

 용적변화의 계산

 

해설

 

동상성의 판정

 

$w_s > 20(\% )$ 이면 동상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

 

 

정답 

 

 

03

부피가 2,208$\rm cm^3$이고 무게가 4,000g인 몰드속에 흙을 다져 넣어 무게를 측정하였더니 8,294g이었다. 이 몰드속에 있는 흙을 시료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함수비를 측정하였더니 12.3%였다. 이 흙의 건조단위중량은 얼마인가?

 1.945$\rm g/cm^3$

 1.732$\rm g/cm^3$

 1.812$\rm g/cm^3$

 1.614$\rm g/cm^3$

 

해설

 

1. 습윤단위중량

 

2. 건조단위중량

 

정답 

 

 

04

흙의 연경도(consistency)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소성지수는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로서 표시된다.

 수축한계를 지나서도 수축이 계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유동지수는 유동곡선의 기울기이다.

 어떤 흙의 함수비가 소성한계보다 높으면 그 흙은 소성상태 또는 액성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설

 

수축한계를 지나 함수비가 감소되더라도 체적의 변화가 거의 없다.

 

정답 

 

 

05

흙의 습윤 단위무게($\gamma_t$) 1.30$\rm g/cm^3$이며 함수비가 60.5%인 흙의 비중이 2.70일 때 포화단위무게를 구하면?

 0.81$\rm g/cm^3$

 1.51$\rm g/cm^3$

 1.80$\rm g/cm^3$

 2.33$\rm g/cm^3$

 

해설

 

1. 건조단위중량

 

2. 간극비

 

3. 포화단위무게(=포화단위중량)

 

정답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