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하수도공학

[상하수도공학] 수원, 수원의 구비조건, 지표수, 지하수, 복류수, 용천수, 천층수, 심층수, 취수지점의 선정조건, 계획취수량,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결정, Ripple's method

by KJEDU 2022. 5. 20.

 

03 수원과 저수시설

 

1. 수원

 

(1) 수원의 구비조건

 

수량이 풍부할 것

수질이 양호할 것

가능한 한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할 것

수돗물 소비지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해야 할 것

 

 

(2) 지하수의 특징

 

복류수 : 어느 정도 여과된 것이므로 지표수에 비해 수질이 양호하며 정수처리과정에서 침전지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용천수 : 지하수가 자연적으로 지표로 솟아나온 것으로 그 성질은 대개 지하수와 비슷하다.

 

천층수 : 지표면에서 깊지 않은 곳에 위치하므로 공기의 투과가 양호하므로 산화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된다.

 

심층수 : 대지의 정화작용으로 무균 또는 거의 이에 가까운 것이 보통이다.

 

 

2. 저수시설

 

(1) 지표수를 수원으로 하는 경우 상수시설의 배치순서

 

지표수 - 취수시설(취수탑) - 정수시설(침사지 - 응집침전지 - 여과지) - 정수지 - 배수지 - 급수시설

 

(2) 취수지점의 선정 조건

 

계획취수량을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어야 한다.

장래에도 양호한 수질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구조상 안정적이어야 한다.

 

하천관리시설 또는 다른 공작물에 근접하지 않아야 한다.

 

하천개수계획을 실시함에 따라 취수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3) 계획취수량

 

계획취수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고 취수부에서부터 정수할 때까지의 손실을 고려하여 정한다.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10% 정도 증가된 수량으로 계획취수량을 정하고 있다.

 

 

(4) 취수보의 취수구 유입속도

 

상수도에서 안전을 고려하여 0.4~0.8m/sec를 표준으로 한다.

 

농업용수의 유입속도는 일반적으로 0.6~1.0m/sec 정도이다.

 

 

(5)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결정

 

계획기준년의 경우 : 물수지를 계산하여 결정.

 

예비검토를 하는 경우 : 유량도표에 의한 방법, 유량누가곡선도표에 의한 방법(Ripple's method)

 

 

 

 

 

토목기사필기 및 실기시험대비 네이버 스토어팜

 

케이제이에듀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토목기사 시험 독학 완벽 준비

smartstore.naver.com

 

 

토목 네이버 엑스퍼트

 

대학교학습 케이제이에듀 eXpert 프로필 : 네이버 지식iN

엑스퍼트: 토목기사 시험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m.expert.naver.com

 

댓글